방울방울한 일상들

에세이/인생게임

🎮 『인생게임』 5화 : 길드 시스템 vs 회사

방울한토마토 2025. 4. 27. 12:00
반응형

🎮 인생게임 5화

길드 시스템 vs 회사 – 협업과 이직의 진짜 의미

 


 

MMORPG를 하다 보면,


혼자 플레이하는 것도 재미있지만


어느 순간 길드에 가입하게 된다.

 

“길드 퀘스트 깨실 분 구해요~”
“오늘 길드 보스레이드 다같이 가실게요!”

 

길드에 들어가면 혼자서는 못 얻는 보상이 생기고,


함께 무언가를 해냈을 때 길드 보상이 쌓인다.


그리고 그 길드가 커지면 길드 버프도 받게 된다.

 


 

🏢 현실에서도 우리는 길드에 들어간다

 

그 이름은 조금 다르다.


회사, 조직, 부서, 팀, 공공기관…


우리는 사회 속에서 다양한 이름의 ‘길드’에 들어간다.

 

  • 주어진 퀘스트(업무)를 수행하고
  • 월급(보상)을 받으며
  • 길드(회사)가 성장하면 함께 더 나은 혜택을 누린다

 

즉, 회사란 현실 속 ‘조직 기반 플레이 시스템’,


바로 길드 시스템이다.

 


 

⚔️ 업무 = 퀘스트 / 월급 = 보상

 

게임의 길드에서는 이런 흐름이 있다:

 

  • 길드 퀘스트: 보스 처치, 자원 수집, 경쟁전
  • 역할 분담: 힐러, 탱커, 딜러, 버퍼 등
  • 보상 지급: 아이템, 경험치, 골드, 명성

 

현실도 마찬가지다.

 

  • 업무 수행: 마케팅 기획, 고객 응대, 개발, 디자인
  • 팀워크: 직무별 협업 구조
  • 보상: 월급, 성과급, 스톡옵션, 복지

 

길드 퀘스트를 깨면 길드 전체 경험치가 쌓이듯,
회사 프로젝트가 성공하면 회사도 성장하고, 나도 보상을 받는다.

 


 

🔁 길드가 나와 맞지 않는다면?

 

게임에서도 있다.

  • 소통이 안 되는 길드
  • 길드장(리더)의 독단적 운영
  • 내 역할이 무시당하는 구조

현실에서도 있다.

  • 조직문화가 맞지 않거나
  • 성장 기회가 없고
  • 내 가치를 인정받지 못하는 상황

그럴 땐 우리는 선택한다.

다른 길드를 찾아 나서거나,
내 길드를 직접 만든다.

 


 

🏗️ 나만의 소규모 길드를 만드는 사람들

 

회사를 그만두고 자영업을 시작한 사람들,


혼자 혹은 몇 명이서 스타트업을 만든 창업자들,


프리랜서로 일하면서 개인 브랜드를 키워가는 사람들.

 

이들은 게임으로 치면,


길드를 나와 스스로 ‘새 길드’를 만든 사람들이다.

 

처음엔 길드원이 나 혼자일 수도 있다.
보스 레이드는 못 해도,
작은 퀘스트부터 차곡차곡 쌓아간다.

 

그리고 시간이 지나면


자신만의 방식, 속도, 기준으로 성장해간다.

 


 

💥 길드의 크기 = 영향력? 꼭 그렇지는 않다

 

게임을 보면,


길드 랭킹 1위는 수백 명이 모인 대형 길드일 수 있다.


하지만 그게 가장 재미있는 길드라는 보장은 없다.

  • 소규모 길드지만 퀘스트 달성률 100%
  • 길드는 작아도 구성원 사이의 유대감 최고
  • 빠르진 않아도, 방향은 또렷한 성장

 

현실도 똑같다.

대기업 = 무조건 성공
스타트업 = 불안정
이런 단순한 공식은 이제 통하지 않는다.

길드의 가치와 영향력은 ‘규모’가 아니라,
어떤 미션을 수행하고,
어떻게 함께 성장하는지에 달려 있다.

 


 

💬 마치며

 

우리는 모두 이 인생게임 속에서


어느 ‘길드’에 속해 있고, 혹은 길드를 직접 만들기도 한다.

 

길드(회사)는 완벽할 수 없지만,


나의 플레이를 더 넓게, 더 깊게 만들어줄 수 있는 공간이다.

 

그리고 기억하자.

  • 더 큰 길드로 가는 것도 가능하고,
  • 내 길드를 만드는 것도 멋진 선택이며,
  • 작은 길드여도 강력한 영향력을 발휘할 수 있다는 것.

 

이직은 더 나은 퀘스트, 더 좋은 파티,
더 나다운 플레이를 위한 선택이다.

 

이 게임,


함께할수록 강하지만,


때론 혼자서도 성장할 수 있는 게임
이다.

 


🎮 다음 편 예고
6화: 아이템 vs 자산/배경 – 장비빨, 집안빨


 

반응형